강의계획서
닫기강의개요
과목명 | 인지심리학 | 운영 교수명 | 미정 |
---|---|---|---|
연도 / 학기 | 2025 / 2 | 학점 / 이수시간 | 3 / 45 |
학습기간 | 2025.05.20 ~ 2025.09.01 |
---|
성적이의 신청기간 | 2025.09.11 ~ 2025.09.12 |
---|
교안 | 없음 (자체교안사용) |
---|
주차별 강의내용
⟷ 좌우스크롤
주차 | 회차 | 학습내용 | 과제 | 시험 | 토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주차
2025.05.20 ~ 2025.06.02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마음을 연구하는 인지심리학의 역사적 흐름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마음의 개념은 무엇이며, 마음이 어떻게 연구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. - 역사적 인물(아리스토텔레스, 분트, 에빙하우스, 캘킨스, 제임스, 바틀렛)들을 중심으로 인지심리학의 역사적 흐름을 나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마음의 개념 및 연구방법 - 인지심리학의 역사적 인물과 업적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현대 인지심리학의 출현과 접근 방향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현대 인지심리학이 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소(행동주의의 염증, 언어학, 기억 및 발달 연구에 의한 고무)들을 기술할 수 있다. - 현대 인지심리학의 접근 방향(생태학적 타당도, 인지 신경과학, 인공지능, 병렬 분산처리 및 인지과학에 관한 고려)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현대 인지심리학이 출현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소 - 현대 인지심리학의 접근 방향 |
|||||
2주차
2025.05.27 ~ 2025.06.09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인지 신경과학의 기초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신경계의 기본 특성인 뉴런의 개념을 학습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뇌를 영역별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고, 인지 기능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뉴런에 대한 이해 - 뇌의 구조 및 영역별 특징에 대한 이해 - 뇌의 영역과 인지 기능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시각 대상 재인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인간의 시각 체계와 시각 정보처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 - 시각 대상의 지각 원리(전경-배경 원리, 프라그난츠의 법칙)와 재인 이론(형판 대응 이론, 세부특징 분석 이론, 성분에 의한 재인 이론)의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인간의 시각 체계 및 시각 정보처리 과정 - 시지각 원리 - 시각 대상 재인 이론 |
|||||
3주차
2025.06.03 ~ 2025.06.16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시각 대상 재인에서 하향처리의 영향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상향 처리와 하향 처리의 차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시각 대상 재인 과정인 읽기 과정과 변화 지각 과정에서 하향 처리의 영향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상향 처리와 하향 처리의 개념적 차이 - 읽기 과정에서 하향 처리의 영향 : 낱자 재인, 단어 우월 효과 - 변화 지각 과정에서 하향 처리의 영향 : 변화맹, 무주의 맹시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얼굴 재인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시각 대상 재인과 얼굴 재인의 개념적 차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얼굴 실인증의 사례를 통해 얼굴 재인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시각 대상 재인과 얼굴 재인의 개념적 차이 - 얼굴 재인의 사례 |
|||||
4주차
2025.06.10 ~ 2025.06.23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주의 과정의 이해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주의 과정을 선택적 주의와 분할주의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주의 과정별(선택적 주의 vs. 분할주의)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선택적 주의와 분할주의의 개념 - 선택적 주의의 특징 : 양분청취 과제, 스트룹 과제 - 분할주의의 특징 : 멀티 태스킹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주의 이론과 도약 안구 운동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주의 이론 중 병목 이론과 자동 및 통제 처리 이론을 구분하여 이해하고, 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- 도약 안구 운동에 관해 이해하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병목 이론의 개념과 특징 - 자동 및 통제 처리 이론의 개념과 특징 - 도약 안구 운동의 개념과 특징 |
|||||
5주차
2025.06.17 ~ 2025.06.30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기억의 구분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기억의 고전 연구(Magic Number 7, 계열 위치효과)를 통해 기억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 - 다중 저장고 모형(감각기억, 단기기억(작업기억), 장기기억)을 이해하고, 이를 통해 기억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기억의 고전 연구 I : Magic Number 7 - 기억의 고전 연구 II : 계열위치효과 - 다중 저장고 모형 : 감각기억, 단기기억(작업기억), 장기기억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작업기억의 구조 및 특징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작업기억의 개념을 이해하고 시공간 메모장(잡기장), 음운 고리(루프), 중앙집행기, 일화적 완충기(저장소)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작업기억의 네 가지 구조인 시공간 메모장(잡기장), 음운 고리(루프), 중앙집행기, 일화적 완충기(저장소)의 개념과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시공간 메모장(잡기장)의 개념 및 특징 - 음운 고리(루프)의 개념 및 특징 - 중앙집행기 및 일화적 완충기(저장소)의 개념과 특징 |
|||||
6주차
2025.06.24 ~ 2025.07.07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장기기억의 구조 및 특징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장기기억을 외현기억과 암묵기억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장기기억의 구조별(외현기억 vs. 암묵기억)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외현기억 - 암묵기억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장기기억의 부호화와 인출 |
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부호화되고(처리 수준 이론과 맥락 효과), 장기기억으로부터 정보를 인출하는 원리(인출 단서, 전문성, 기억 상실증)를 설명할 수 있다. - 장기기억으로의 부호화와 장기기억으로부터의 인출에 관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장기기억으로의 부호화 : 처리 수준 이론과 맥락 효과 - 장기기억으로부터의 인출 : 인출 단서, 전문성, 기억 상실증 |
|||||
7주차
2025.07.01 ~ 2025.07.14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목격자 기억과 자서전적 기억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목격자 기억에서 발생하는 오기억 현상을 이해하고, 목격자 기억의 특징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자서전적 기억의 개념을 이해하고, 관련 현상(섬광 기억, 도식, 출처 감시)과 연계하여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목격자 기억 : 오정보 효과, 회복된 기억, 오기억 - 자서전적 기억 : 섬광기억, 도식, 출처감시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미래 (계획) 기억과 기억 증진 전략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미래(계획) 기억의 개념을 이해하고,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- 기억을 증진하는 기억 전략으로서 기억술을 심상 기억술, 조직화 기억술로 구분하고, 각각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미래 (계획) 기억의 개념과 특성 - 기억 증진 전략(기억술) |
|||||
8주차
2025.07.11 ~ 2025.07.14 |
중간고사 |
1. 시험범위 : 1주~7주차 강의내용 2. 문항수(배점) : 객관식 20문항(각 1점), 주관식 5문항(각 1점) = 총 25점 만점 3. 시험시간 :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. 유의사항 가.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나.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.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다. 중간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 이의 신청기간 시 중간고사 실시 |
- | O | - | |
9주차
2025.07.15 ~ 2025.07.28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정서의 개념과 인지와의 관계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정서의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유사한 개념들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정서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기분 일치 효과와 상태의존 기억을 이해하고, 두 현상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정서의 개념 - 정서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언어 발달과 사고의 관계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언어의 기본 구조인 문법인 음운론, 구문론, 어의론에 대해 이해하고, 언어가 발달하는 과정과 측정 방법인 형태소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언어 획득의 원리(학습이론 접근, 본래적 기제)를 이해하고,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문법(음운론, 구문론, 어의론) 및 언어발달 측정방법, 과정 - 언어 획득의 원리 - 언어와 사고의 관계 : 언어 상대성 가설 |
|||||
10주차
2025.07.22 ~ 2025.08.04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개념과 범주의 의미와 범주화 처리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개념과 범주의 의미를 이해하고, 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범주화 처리의 두 접근인 원형 접근과 본보기 접근의 개념을 이해하고, 두 접근의 장·단점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개념의 의미 - 범주의 의미 - 범주화 처리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지식을 표상하는 방식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지식을 표상하기 위해 범주가 수준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지식을 표상하기 위한 방식인 의미망 접근과 연결주의 접근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범주 수준 : Rosch의 접근 - 의미망 접근 : Collins와 Quillian의 위계적 모형 - 연결주의 접근 : 병렬분산처리 모형 |
|||||
11주차
2025.07.29 ~ 2025.08.11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지능의 이론 및 측정 그리고 창의성의 개념 및 접근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지능의 이론(2요인, 3요인, 다중 지능)을 이해하고, 지능을 측정하는 방법(비네-시몽, 스탠퍼드-비네, WAIS, WISC)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창의성의 개념을 이해하고, 창의성에 접근하는 방법(발산적 생산, 투자 이론)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지능의 이론 : 2요인 이론(Spearman), 3요인 이론(Sternberg), 다중지능 이론(Gardner) - 지능의 측정 - 창의성의 개념 및 접근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추리의 개념 및 유형(연역적 추리와 귀납적 추리)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추리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하고, 추리의 두 유형인 연역적 추리, 귀납적 추리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- 추리의 유형을 연역적 추리(웨이슨의 선택 과제)와 귀납적 추리(인과 추리, 범주 추리, 유추 추리, 가설검증)로 구분하고 각각의 개념 및 특징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추리의 개념 및 구분 - 연역적 추리의 개념 및 특징 - 귀납적 추리의 개념 및 특징 |
|||||
12주차
2025.08.05 ~ 2025.08.18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문제 이해(표상)하기 및 문제해결 전략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문제를 이해(표상) 하는 방법(상징, 매트리스, 다이어그램, 시각 이미지)을 이해하고,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-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으로서 어림법과 유추 접근법에 대해 이해하고, 두 방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문제 이해(표상)하기 - 문제해결 전략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문제해결의 현대적 접근법 및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문제해결의 현대적 접근법인 Newell과 Simon의 접근법의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전문성, 마음갖춤새, 기능적 고착, 고정관념으로 구분하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문제해결의 현대적 접근법 -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|
|||||
13주차
2025.08.12 ~ 2025.08.25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휴리스틱 의사결정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휴리스틱 의사결정 중 대표성 휴리스틱의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휴리스틱 의사결정 중 가용성 휴리스틱의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휴리스틱 의사결정 중 기점화와 조정 휴리스틱의 개념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휴리스틱 의사결정 I : 대표성 휴리스틱 - 휴리스틱 의사결정 II : 가용성 휴리스틱 - 휴리스틱 의사결정 III : 기점화와 조정 휴리스틱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틀 효과와 사후판단 편향에 따른 의사결정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틀 효과에 따른 의사결정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사후 판단 편향에 따른 의사결정을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틀 효과에 따른 의사결정 - 사후 판단 편향에 따른 의사결정 |
|||||
14주차
2025.08.19 ~ 2025.09.01 |
1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마케팅, 교육, 항행 영역에서 인지심리학의 응용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마케팅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로고와 광고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교육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SQ3R 독서법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항행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HUD; head-up display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마케팅에서의 인지심리학(시지각) - 교육에서의 인지심리학(학습, 기억) - 항행에서의 인지심리학(주의)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1) 강의주제 : 사법절차, 인공환경, 안전 영역에서 인지심리학의 응용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2) 강의목표 - 사법절차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라인업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안전 영역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디자인 개선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- 인공 환경에서 인지심리학이 응용된 사례(감성 환경)를 이해하고, 이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3) 강의세부내용 - 사법절차에서의 인지심리학(목격자 기억) - 안전 영역에서의 인지심리학(정서, 의사결정) - 인공 환경에서의 인지심리학(지각, 정서, 학습, 기억) |
|||||
15주차
2025.08.29 ~ 2025.09.01 |
기말고사 |
1. 시험범위 : 9주~14주차 강의내용 2. 문항수(배점) : 객관식 20문항(각 1점), 주관식 5문항(각 1점) = 총 25점 만점 3. 시험시간 :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. 유의사항 가.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나.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.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다. 기말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 이의 신청기간 시 기말고사 실시 |
- | O | -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