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계획서
닫기강의개요
과목명 | 노인복지론 | 운영 교수명 | 미정 |
---|---|---|---|
연도 / 학기 | 2025 / 1 | 학점 / 이수시간 | 3 / 45 |
학습기간 | 2025.03.04 ~ 2025.06.16 |
---|
성적이의 신청기간 | 2025.06.26 ~ 2025.06.27 |
---|
교안 | 없음 (자체교안사용) |
---|
주차별 강의내용
⟷ 좌우스크롤
주차 | 회차 | 학습내용 | 과제 | 시험 | 토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주차
2025.03.04 ~ 2025.03.17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의 이해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의 정의와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. - 노인의 개념 정의를 알 수 있다. - 노인의 조작적 정의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의 정의와 특성 (2) 노인의 개념정의 (3) 노인의 조작적 정의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인구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인구구조의 변화와 노인인구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노인인구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인구고령화와 노인문제에 대한 사회적 특성과 파장에 대하여 이해한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인구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1 (2) 노인인구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2 (3) 인구고령화와 노인문제 |
|||||
2주차
2025.03.11 ~ 2025.03.24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의 욕구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와 노인복지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복지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다. - 노인의 문제 및 노인복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와 노인복지 (2) 노인복지의 개념과 유형 (3) 노인의 욕구 (4) 노인의 문제 및 노인복지의 관계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화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화의 개념과 영역을 이해한다. - 생물적 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생물적 노화의 주요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. - 신체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알아본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화의 개념과 영역 (2) 노화의 특성 (3) 노화 이론 (4) 신체구조와 기능의 변화 |
|||||
3주차
2025.03.18 ~ 2025.03.31 |
1회차 | 강의주제 | 성공적 노화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성공적 노화의 이해를 알아본다. -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을 알아본다. - 성공적 노화이론을 알아보고 이해한다. - 성공적 노화를 위한 활동을 알아본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성공적 노화의 이해 (2)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 (3) 성공적 노화이론 (4) 성공적 노화를 위한 활동과 삶의 질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년기의 경제생활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년기의 경제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노후 경제생활 보장에 대한 태도와 준비에 대하여 알아본다. - 노년기의 소득과 자산, 만족도, 법제화, 정책지원, 취업/창업 활성화에 대하여 알아본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년기의 경제생활 변화 (2) 노후 경제생활 보장에 대한 태도와 준비 (3) 노년기의 소득과 자산 |
|||||
4주차
2025.03.25 ~ 2025.04.07 |
1회차 | 강의주제 |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건강과 질병을 이해할 수 있다. - 노인성 주요 질환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건강과 질병의 개념 (2) 노인성 질환의 특성 (3) 노년기의 주요 질환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과 경제활동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년기의 일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. - 노인일자리와 고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일의 개념과 기능 (2) 노인의 일자리 |
|||||
5주차
2025.04.01 ~ 2025.04.14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 케어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환자의 영양관리방법을 이해한다. - 노인환자 보호를 위한 환자의 케어를 파악하고 이행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년기 영양관리 (2) 노인환자의 케어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의 질병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년기의 질병 양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- 일상생활 동장능력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의료보장 적용인구 및 증감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년기의 질병 양상 (2) 일상생활 동작능력 (3) 의료보장 적용인구 및 증감률 |
|||||
6주차
2025.04.08 ~ 2025.04.21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과 치매1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치매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한다. - 치매의 증상과 경과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치매의 개념 (2) 치매의 원인과 유형 (3) 주요 치매 (4) 치매의 증상과 경과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과 치매2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치매의 예방, 진단 및 치료를 이해한다. - 치매노인의 간호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치매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(2) 치매노인의 간호방법 |
|||||
7주차
2025.04.15 ~ 2025.04.28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복지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. - 노인복지의 이념과 목표를 이해할 수 있다. - UN에서 제시하는 노인복지의 이념을 알고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복지의 개념 (2) 노인복지의 이념과 목표 (3) UN에서 제시하는 노인복지의 이념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서비스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인복지서비스를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다. - 노인복지실천서비스 인력 양성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복지시설의 종류와 현황을 분류할 수 있다. - 노인복지시설의 운영과 관리시스템을 알아볼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복지서비스의 이해 (2) 노인복지실천서비스 인력 양성 (3) 노인복지시설의 종류와 현황 (4) 노인복지시설의 운영과 관리 |
|||||
8주차
2025.04.25 ~ 2025.04.28 |
중간고사 |
3. 시험시간 :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. 유의사항 1)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2)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. 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중간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 이의 신청기간 시 |
- | O | - | |
9주차
2025.04.29 ~ 2025.05.12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법과 복지정책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복지법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. - 노인복지정책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- 노인복지법의 의미 - 노인복지정책의 유형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정책의 유형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 - 외국의 노인복지정책에 대해 숙지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 (2)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 특징 (3) 외국의 노인복지정책 |
|||||
10주차
2025.05.06 ~ 2025.05.19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| 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장기요양 급여의 내용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에 대해 알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장기요양 급여의 내용 (2)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서비스 |
|||||
11주차
2025.05.13 ~ 2025.05.26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과 인권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과 성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. - 노인 성생활의 문제점과 개입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. - 노인과 학대에 대해 알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과 성에 대한 이해 (2) 노인 성생활의 문제점과 개입전략 (3) 노인과 학대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과 안전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인범죄의 개념과 발생요인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- 노인범죄 유형과 현황, 예방대책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. - 독거 노인 복지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범죄의 개념과 발생요인 (2) 노인범죄 유형과 현황 (3) 노인범죄의 예방대책 (4) 시설복지서비스와 인권 (5) 독거(홀몸) 노인 복지서비스의 이해 (6) 노인 안전을 위한 노인복지의 원칙 |
|||||
12주차
2025.05.20 ~ 2025.06.02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 상담과 사례관리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노인 상담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- 노인 사례관리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인 상담의 필요성과 개념 (2) 노인 사례관리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 사례관리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례관리의 등장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- 사례관리의 목적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. -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및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례관리의 등장배경과 필요성 (2) 사례관리의 목적과 기능 (3) 사례관리의 구성요소 및 과정 |
|||||
13주차
2025.05.27 ~ 2025.06.09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의 죽음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죽음과 임종의 개념에 대해 알 수 있다. - 죽음의 의미와 태도 및 임종을 설명할 수 있다. - 노년기의 자살 및 사별과 애도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죽음과 임종의 개념 (2) 죽음의 의미와 태도 및 임종 (3) 노년기의 자살 및 사별과 애도과정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 죽음 준비교육의 이해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죽음 준비교육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. - 호스피스를 이해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죽음 준비교육 (2) 호스피스의 이해 |
|||||
14주차
2025.06.03 ~ 2025.06.16 |
1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의 미래와 과제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고령사회의 변화 전망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복지의 당면과제를 말할 수 있다. - 노인복지사회를 위한 제언을 할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고령사회의 변화 전망 (2) 노인복지의 당면과제 (3) 노인복지사회를 위한 제언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노인복지사회를 위한 제언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노년기의 가족관계에 대해 알 수 있다. - 노인을 위한 사회서비스에 대해 알 수 있다. |
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노년기의 가족관계 (2) 노인을 위한 사회서비스 |
|||||
15주차
2025.06.13 ~ 2025.06.16 |
기말고사 |
3) 시험시간 :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) 유의사항 (1)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(2)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. 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기말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이의신청기간 시 |
- | O | -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