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계획서
닫기강의개요
과목명 | 사회복지실천론 | 운영 교수명 | 미정 |
---|---|---|---|
연도 / 학기 | 2025 / 1 | 학점 / 이수시간 | 3 / 45 |
학습기간 | 2025.02.18 ~ 2025.06.02 |
---|
성적이의 신청기간 | 2025.06.12 ~ 2025.06.13 |
---|
교안 | 없음 (자체교안사용) |
---|
주차별 강의내용
⟷ 좌우스크롤
주차 | 회차 | 학습내용 | 과제 | 시험 | 토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주차
2025.02.18 ~ 2025.03.03 |
1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정의를 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의 개념 (2)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(3)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및 목표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(2) 사회복지실천의 목표 |
|||||
2주차
2025.02.25 ~ 2025.03.10 |
1회차 | 강의주제 |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전개와 현대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(2) 사회복지실천교육과 이론의 발전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한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제도적 발전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외원단체의 활동과 그 영향 (2) 외원단체의 계승 기관 (3)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발전 (4)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및 방향 |
|||||
3주차
2025.03.04 ~ 2025.03.17 |
1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의 개념과 윤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(2) 사회복지실천 윤리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와 해결책을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윤리적 딜레마 (2) 윤리적 의사결정의 과정 (3)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책 |
|||||
4주차
2025.03.11 ~ 2025.03.24 |
1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와 사회복지사의 역할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와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현장 (2) 사회복지사의 역할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분야별 사회복지실천 현장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분야별 사회복지실천현장을 이해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현장으로서의 사회복지시설 (2) 분야별 사회복지시설 |
|||||
5주차
2025.03.18 ~ 2025.03.31 |
1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기반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 이론의 구성과 이론적 기반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 이론의 구성 (2)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반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관점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주요 관점인 일반체계적 관점과 생태체계적 관점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일반체계적 관점 (2) 생태체계적 관점 |
|||||
6주차
2025.03.25 ~ 2025.04.07 |
1회차 | 강의주제 | 강점관점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강점관점의 이론과 실천원리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강점관점의 개념과 이론 (2) 강점관점의 특징, 실천원리와 적용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구성주의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구성주의의 등장과 사회복지실천을 파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구성주의의 등장 (2) 사회구성주의와 사회복지실천 |
|||||
7주차
2025.04.01 ~ 2025.04.14 |
1회차 | 강의주제 | 다문화관점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다문화관점과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다문화관점의 이해 (2) 다문화관점과 사회복지실천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성인지관점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성인지관점과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성인지관점의 이해 (2) 사회복지실천과 성인지 관점 |
|||||
8주차
2025.04.11 ~ 2025.04.14 |
중간고사 |
3) 시험시간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) 유의사항 -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-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중간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이의신청기간 시 |
- | O | - | |
9주차
2025.04.15 ~ 2025.04.28 |
1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의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회복지실천관계의 이해 (2) 사회복지사의 ‘관계 맺기’ (3) ‘관계 맺기’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자질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 관계의 원칙과 관계형성의 장애요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비에스틱(Biestek, 1957)의 사회복지실천관계의 원칙 (2)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|
|||||
10주차
2025.04.22 ~ 2025.05.05 |
1회차 | 강의주제 | 면접과 기록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면접과 면접의 특성, 면접의 형태 등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면접의 개념 (2)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특성 (3) 면접의 형태 (4) 면접의 기법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면접의 기록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면접기록의 목적과 유형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기록의 목적과 내용 (2) 기록의 유형 (3) 기록양식과 면접과정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책임 |
|||||
11주차
2025.04.29 ~ 2025.05.12 |
1회차 | 강의주제 | 접수단계와 자료수집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접수단계와 자료수집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접수단계 (2) 자료수집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정과 사정도구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정과 유용한 사정도구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정(assessment) (2) 유용한 사정도구 |
|||||
12주차
2025.05.06 ~ 2025.05.19 |
1회차 | 강의주제 | 계획수립 및 계약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계획수립과 계약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계획수립 (2) 계약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개입(개인대상)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개입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개입 (2) 직접적 개입 (3) 간접적 개입 |
|||||
13주차
2025.05.13 ~ 2025.05.26 |
1회차 | 강의주제 | 개입(가족·집단 대상)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중 가족, 집단 대상의 개입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가족개입의 의의와 가족단위의 실천활동 (2) 집단대상 개입과 개입기술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개입(지역사회복지대상)과 평가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지역사회복지모델과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(2)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(3) 지역사회실천기술 (4) 평가 |
|||||
14주차
2025.05.20 ~ 2025.06.02 |
1회차 | 강의주제 | 종결 및 사례관리1 | - | - | - |
강의목표 | - 종결과 사례관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종결 (2) 사례관리의 개념과 특성 |
|||||
2회차 | 강의주제 | 사례관리2 | - | - | - | |
강의목표 | - 사례관리의 실천과정에 대해 알 수 있다. | |||||
강의세부내용 | (1) 사례관리의 기능과 원칙, 역할, 과정 (2) 사례관리의 모델과 실제 |
|||||
15주차
2025.05.30 ~ 2025.06.02 |
기말고사 |
3) 시험시간 60분 (장애학습자의 경우 90분) 4) 유의사항 - 시험 응시 기회는 1회이며, 시험 제한 시간 내 응시 완료해야 합니다. - 시험 미응시 시 다른 대체방법은 없습니다(단, 공결로 인한 미응시는 5일 이내 재응시 기회 1회 부여, 15% 감점) 기말고사 성적 공개 : 객관식 점수 즉시공개, 주관식 포함점수 성적이의신청기간 시 |
- | O | - |